■ 김방희, 생활경제연구소장
[앵커]
한주간의 재계와 주요 CEO 동향 알아보는 시간이죠. 김방희 생활경제연구소장과 함께합니다. 이번주는 말이죠. 가장 큰 이슈는 아무래도 역시 미 대선의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 그리고 최순실 씨의 국정농단 사건일 텐데요. 특히 재계에서는 이미 최 씨의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대기업으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어서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입니다.
[인터뷰]
그럴 수밖에 없는 입장입니다. 처음에 재벌, 우리 대기업 집단은 피해자의 얼굴을 하고 나타났는데요. 최순실 씨가 사유화한 것으로 보이는 미르와 K스포츠재단의 53개 기업에서 모두 774억 원을 갹출당했기 때문입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이승철 상근 부회장이 자신이 두 재단 설립을 주도했다고 주장할 때도 그말을 곧이곧대로 믿는 일은 없었습니다.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까지 이 일에 나섰기 때문에 청와대의 압력에 마지 못해서 거금을 강탈당했다는 시선이 많았는데요. 실제로 검찰 수사가 임박해서는 돈 뜯기고 조사 받고 하면서 억울해하는 대기업 입장에 공감을 표하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검찰 수사와 언론 탐사보도로 추가적으로 밝혀지고 있는 내용을 보면 대기업들을 단순한 피해자로만 보기는 어려운데요. 삼성처럼 실제 권력의 향배에 후각이 예민한 일부 기업들은 최순실 씨 주변을 일지감치 챙긴 정황이 발견된 건데요.
더욱이 수사 과정에서 대통령이 세세히 지시를 했다거나 대기업 총수들이 대통령과의 독대 후에 갹출한 정황을 보면 대기업도 자신들의 민원이나 숙원 사업을 해결하는 창구로 활용한 인상이 짙습니다. 국민 입장에서도 복지를 위한 증세에는 한사코 반대하면서 이런 식의 뒷거래를 선호한 대기업들을 과연 어떻게 봐야 할지, 참 난처한 상황입니다.
[앵커]
그런데 말입니다. CJ그룹 이미경 부회장 퇴진 압박 의혹은요, 단순한 자금모금과는 성격이 다른 것 같습니다. 정부 권력이 사기업 경영권에 영향력을 끼쳤다, 이렇게 봐야 되는 겁니까?
[인터뷰]
그렇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검찰 수사도 막 시작이 됐기 때문에 검찰 수사를 지켜봐야겠죠. 그러나 2013년 말에 당시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이 손경식 CJ그룹 회장과 통화한 내용이 공개됐습니다.
여기 이미경 부회장 퇴진이 청와대의 뜻이며 가능한 빨리 퇴진했으면 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어서 논란이 되고 ...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pn/0490_20161110162832251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